CS 3

[컴퓨터 구조 기초] 명령어의 구조와 주소지정 방식

명령어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? 명령어는 컴퓨터가 이해 하는 정보 중 하나이다.우리가 동작시키는 모든 프로그램들은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며, CPU는 이 명령어를 가져와 해석하고실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. 그렇다면 이 명령어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한번 살펴보자. 명령어는 크게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로 구분할 수 있다.  연산 코드는 말 그대로 수행할 연산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이다.대표적인 연산으로는 다음과 같다.데이터 전송산술/논리 연산제어 흐름 변경입출력 제어 오퍼랜드는 피연산자이다. 즉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를 말한다. 하나가 들어갈 수도 있고 여러 개가 들어갈 수 도 있다. 데이터 값을 그대로 담아 넣어 사용하기도 하지만, 보통은 메모리의 주소나 레지스터의 이름(..

CS 2024.06.06

[컴퓨터 구조 기초] 컴퓨터와 명령어

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컴퓨터는 크게 데이터와 명령어 이 두 가지 정보를 이해한다.데이터는 이미지, 텍스트, 미디어 등의 정적인 정보들이다. 그리고 컴퓨터가 어떤 실질적인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정보가 명령어이다.이 두 데이터는 모두 0과 1로만 이루어져 있으며, 컴퓨터는 이 정보를 이해하고 목적에 맞게 처리한다.   이때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한 개발자들이 작성한 명령어들의 집합체다.우리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C++/C# 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소스 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실행 파일로 만든다. 그런데 0과 1의 정보만 이해할 수 있는 컴퓨터는 어떻게 우리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이해할까?   고급 언어 VS 저급 언어 결론만 말하자면 컴퓨터는 소스 코드를 이해할 수 없..

CS 2024.06.03

[컴퓨터 구조 기초] 컴퓨터의 핵심 부품

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여러 부품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큰 기계 장치이다. 이번 게시글에서는 컴퓨터를 이루는 주요 장치들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다.CPU(Central Processing Unit) 중앙처리장치라고 불리는 이 부품은 컴퓨터의 뇌라고 볼 수 있다. 컴퓨터는 혼자서 작동하지 않는다. 이 거대한 기계 장치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선 우리는 명령어를 전달해줘야 한다.CPU는 전달된 명령어를 해석하고,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. 해당 부품안에는 산술/논리 연산을 처리하기 위한 ALU, 임시기억장치인 레지스터, 각 부품으로 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제어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. Memory 주기억장치라고 불리는 이 부품은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..

CS 2024.06.02